자동차 브레이크등 안 꺼짐 현상은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입니다.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과 필요한 경우에는 즉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 셀프로 교체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정비소에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과 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 자동차 브레이크등 안 꺼짐 현상의 원인과 셀프 교환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.
1. 브레이크등의 역할
브레이크등은 자동차 후면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때 켜지는 빨간 불빛으로 뒤따르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이 정지할 것이라는 신호를 전달합니다. 따라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불이 켜지고 발을 떼면 꺼져야 하지만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브레이크등이 꺼지지 않는다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.
2. 브레이크등 안 꺼짐 현상의 원인
- 전구 수명 점검 미흡
브레이크등이 꺼지지 않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은 전구의 수명이 다했기 때문입니다. 전구는 사용 시간이 지나면 고장이 나기 때문에 전구를 구매하여 직접 교체할 수 있습니다. - 배선 및 릴레이 센서 이상
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불이 켜지지 않는다면 배선이나 릴레이 센서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 배선이 단선되거나 접지가 불량하면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브레이크등이 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 - 퓨즈 문제
퓨즈는 전기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퓨즈가 끊어지면 브레이크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퓨즈 박스를 확인하여 문제가 있다면 새 퓨즈로 교체해야 합니다. - 스톱 스위치 이상
스톱 스위치는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신호를 보내 브레이크등을 켜는 부품입니다. 스톱 스위치에 결함이 생기면 브레이크등이 꺼지지 않을 수 있으며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받는 것이 좋습니다. - 배터리 문제
브레이크등이 계속 켜져 있다면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됩니다. 장시간 동안 켜져 있는 상태로 두면 다음 날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 - 브레이크 패드 마모
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브레이크등이 꺼지지 않을 수 있으며 패드를 교체해야 합니다. - 차체의 전기 시스템 문제
차체의 전기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전구가 꺼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문 정비소에서 점검받는 것이 필요합니다. - 자동차 모델에 따른 차이
자동차 모델에 따라 브레이크등의 구조가 다를 수 있으며 특정 차종에서는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매뉴얼을 참고하여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. - 부품의 노후화
부품이 노후화되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은 쉽게 손상되므로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. - 환경적 요인
습기나 먼지 등 환경적 요인도 브레이크등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세차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3. 셀프 교환 방법
자동차 브레이크등이 꺼지지 않는 문제를 셀프로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전구 구매 : 자신의 차량에 맞는 전구를 구매합니다.
- 시동 끄기 : 차량의 시동을 OFF 상태로 둡니다.
- 전구 커버 확인 : 트렁크의 전구 커버를 확인합니다.
- 후미등 열기 : 안과 바깥쪽 나사를 풀어 후미등을 엽니다.
- 전구 확인 : 전구 소켓을 확인하여 전원과 지시등의 위치를 파악합니다.
- 연결잭 분리 : 연결잭과 소켓을 분리합니다.
- 새 전구로 교체 : 새 전구로 교체한 후에 역순으로 조립하면 됩니다.
자동차는 안전이 최우선으로 브레이크등과 같은 작은 문제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.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를 통해 안전한 주행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자동차 브레이크등 안 꺼짐 현상의 원인과 셀프 교환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.
2024.10.15 - [분류 전체보기] - 자동차 브레이크에서 나는 쇠소리의 원인과 대처 방법
2024.12.06 - [분류 전체보기] -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교체 시기와 비용 및 부족할 때 전조 증상
'자동차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차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 점등 원인과 대처 방법 및 예방 방법 (0) | 2025.01.24 |
---|---|
자동차 타이어 청킹 현상의 주요 원인과 증상 및 예방 방법 (0) | 2025.01.23 |
고속도로 지정차로 구분과 위반시 과태료 및 차선별 주의사항 (0) | 2025.01.20 |
개인정보를 지키기 위한 자동차 주차 안심번호 발급 방법과 장단점 (0) | 2025.01.19 |
자동차 정기검사 차량별 주기와 과태료 및 정기검사전 주의사항 (0) | 2025.01.18 |
댓글